장뇌삼 씨가 백두산에서 채취하여 대모산으로 배달 되다.
어제서야 백두산에서 채취한 장뇌삼 씨앗이 집으로 배달이 되었네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산삼 생산지인 백두산에서 채취된 산삼 씨앗은 북한 주민에서
중국교포를 통하여 다시 부산의 지인에게 배달된 좀 복잡한 유통구조속에서 대모산
산자락까지 배달 되었으니 이번주말부터 씨앗을 잘 관리 및 개갑 처리를 통하여 10월경에
대모산 텃밭에 뿌리고 아파트 뒤틀에도 심어 볼 생각 입니다.
이 귀한 장뇌삼을 잘 키워서 이쁜 모종이라도 가까운 지인들과 친구들에게도 몇 뿌리 선물하고
싶은데 잘 될지 모르겠네요. 최선의 노력을 다짐 하면서...
-------------------------------------------------------------------
개갑처리란 ?
장뇌삼씨를 그늘의 땅속(나무통속) 습한 지역이나, 계곡등에 일정한 기간동안 묻어 두었다가
(자갈 깔고+모래 5cm + 양파자루에 장뇌삼 넣고+ 모래 덮고) 씨앗이 잘 싹트게 하는 방법이다.
1. 먼저 장뇌삼씨앗을 3일간 물에 담구었다가 물에 뜨는것은 버린다.
2. 나무통 사용시 : 7월말 -8월초에 나무통에 자갈+모래+씨앗+모래를 넣고 아침,저녁으로
물을 뿌려줌. 70-80일 지나서 (10월10일-30일) 씨앗을 살펴 보고
씨앗 입구가 벌려 있는지 점검 한다 (씨가 검게 되었으면 곰팡이)
3. 계곡에 묻을시 : 나무통 방법과 동일 하나 물은 주지 않아도 된다.
4. 10월정도에 텃밭에 마석도(산모래,썩은 낙엽등)을 넣고 25-30도 정도 비탈지게하여
씨앗을 뿌리고 짚이나 풀을 덭어 물기가 마르지 않게 한다.
5 개갑을 하다가 더 궁금한점이 있으면 약초마니에게 문의요 (011-688-9595, 033-435-3384)
제가 봉화에 조그마한 산이 하나 있습니다.
송이도 좀 나구요.
이산에다가 올 가을에 장뇌를 심어 볼까하는데
제가 알고 있는 정보가 너무 없네요.
장뇌씨앗을 갖고 계시는 분 있으시면 제게 쪽지나 메일좀 주세요.
감사합니다.
사진은 남쪽사면이구요. 산의 뒷쪽 동북사면과 서북사면이 장뇌삼에 적합할 것 같습니다.
남쪽사면에서 찍은 송이의 모습입니다. 송이가 나는 지역은 7부능선 이상이라서 7부아래쪽에
장뇌를 심으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고요한태풍(봉...



